오늘은 6·10 민주항쟁 기념일입니다. <br /> <br />"책상을 '탁'치니 '억'하고 쓰러졌다"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을 탄압하던 전두환 정권 말기, 당시 대학생이던 박종철 열사가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하자 경찰이 발표한 황당한 사망 이유죠. <br /> <br />이후 박 열사의 죽음을 추모하고 고문을 규탄하는 집회가 줄을 이었는데, 몇 달이 지난 6월 9일. <br /> <br />대학생이던 이한열 열사까지 시위 중에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자 민주화 운동은 전국으로 거세게 퍼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그렇게 시작돼 20여 일 동안 전국 500여만 명이 참가한 대규모 항쟁을 6·10 민주항쟁이라 하는데요, <br /> <br />이로써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포함한 이른바 '6·29선언'이 뒤따르며 마침내 민주주의가 시작됐죠. <br /> <br />그리고 오늘 6.10 민주항쟁 35주년을 맞아 열린 기념식에서 한덕수 국무총리는 민주의 가치가 민주공화국을 탄생시킨 정신임을 기억하겠다며, 민주화에 공헌하고 희생한 분들을 기념하고 예우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박종철 열사의 형을 비롯한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는 오늘 기념식이 열린 서울주교좌성당 앞에서 "민주유공자법 없는 6·10 민주항쟁 기념식은 허구"라며 법 제정을 요구하는 삭발식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"오늘은 민주화를 앞당긴 날이지만 남들처럼 마냥 기뻐할 수 없다"며 "민주열사들은 여전히 '민주화운동 관련자'라는 명칭에서 한 치 앞도 나가지 못하고 '국가유공자'라는 호칭으로도 불리지 못하고 있다"고 지적했는데요. <br /> <br />민주유공자법은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민주화운동 참가자를 유공자로 인정하고 이들에 대해 교육·의료·취업 등의 지원을 하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4·19 혁명과 5·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이들은 각각 '국가유공자'와 '민주유공자'로 법적 지위를 인정받았지만 다른 민주화 운동 희생자들은 '민주화 운동 관련자'로만 분류돼 사망·부상자에 대한 일회성 보상과 명예회복 조치만 받았기 때문이죠. <br /> <br />하지만 관련 법안은 지난 1998년 15대 국회부터 10여 차례 발의됐음에도 '운동권 특혜','과도한 특혜' 등의 논란이 일며 번번이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족단체는 사망·부상자만이라도 유공자로 예우해달라며 높이를 낮췄고, '입시·취업 특혜' 논란에 대해선 "민주화 열사나 희생자들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 취업이나 입시 혜택을 받을 자식들도 없다"고 강조했지만, 상황은 여전히 불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보리 (ybr07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61019502471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